The Fourth Legacy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The Fourth Legacy는 1999년에 발매된 미국의 파워 메탈 밴드 카멜롯의 세 번째 정규 앨범이다. 로이 칸과 토마스 영블러드가 작곡했으며, 총 12곡과 일본 보너스 트랙으로 구성되어 있다. 앨범에는 로이 칸, 토마스 영블러드, 글렌 배리, 케이시 그릴로가 참여했으며, 미로, 사샤 패스 등 여러 연주자들이 추가로 참여했다. 앨범은 발매 후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The Fourth Legacy - [음악]에 관한 문서 | |
---|---|
음반 정보 | |
음반명 | The Fourth Legacy |
종류 | 스튜디오 |
가수명 | 카멜롯 |
커버 | Kamelot - fourth legacy.jpg |
발매일 | 1999년 9월 19일 |
녹음 | 1999년 |
장소 | 해당사항 없음 |
스튜디오 | 볼프스부르크, 독일 Gate Studio |
장르 | 심포닉 파워 메탈 |
길이 | 48분 18초 |
레이블 | Noise/Modern Music |
프로듀서 | Sascha Paeth 및 Miro |
이전 음반 | Siége Perilous |
이전 음반 발매일 | 1998년 |
다음 음반 | Karma |
다음 음반 발매일 | 2001년 |
평가 | |
Metal Storm | 8.5/10 |
The Metal Crypt | 4.5/5 |
Amazon.com | 4.8/5 stars |
2. 곡 목록
번호 | 제목 | 작곡 | 시간 |
---|---|---|---|
1 | "New Allegiance" (한국어 새로운 충성) | 0:54 | |
2 | "The Fourth Legacy" (한국어 제4의 유산) | 4:55 | |
3 | "Silent Goddess" (한국어 침묵의 여신) | 4:15 | |
4 | "Desert Reign" (한국어 사막의 지배) | 1:39 | |
5 | "Nights of Arabia" (한국어 아라비아의 밤) | 5:26 | |
6 | "The Shadow of Uther" (한국어 유서의 그림자) | 글렌 배리, 로이 칸, 토마스 영블러드 | 4:45 |
7 | "A Sailorman's Hymn" (한국어 뱃사람의 찬가) | 4:05 | |
8 | "Alexandria" (한국어 알렉산드리아) | 3:54 | |
9 | "The Inquisitor" (한국어 심문관) | 배리, 칸, 영블러드 | 4:35 |
10 | "Glory" (한국어 영광) | 3:42 | |
11 | "Until Kingdom Come" (한국어 왕국이 올 때까지) | 4:11 | |
12 | "Lunar Sanctum" (한국어 루나 생텀) | 5:59 |
모든 곡은 로이 칸(Roy Khan)과 토마스 영블러드(Thomas Youngblood)가 작곡했으며, 별도 표기된 경우는 제외한다.
"New Allegiance"와 "Desert Reign"는 기악곡이다.
'''일본 보너스 트랙'''
일본반 보너스 트랙으로는 "Can You Remember" (한국어 기억할 수 있나요)의 라이브 버전이 수록되었으며, 4분 27초 길이이다.
2. 1. 기본 트랙
번호 | 제목 | 작곡 | 시간 |
---|---|---|---|
1 | "New Allegiance" | 0:54 | |
2 | "The Fourth Legacy" | 4:55 | |
3 | "Silent Goddess" | 4:15 | |
4 | "Desert Reign" | 1:39 | |
5 | "Nights of Arabia" | 5:26 | |
6 | "The Shadow of Uther" | 글렌 배리, 로이 칸, 토마스 영블러드 | 4:45 |
7 | "A Sailorman's Hymn" | 4:05 | |
8 | "Alexandria" | 3:54 | |
9 | "The Inquisitor" | 배리, 칸, 영블러드 | 4:35 |
10 | "Glory" | 3:42 | |
11 | "Until Kingdom Come" | 4:11 | |
12 | "Lunar Sanctum" | 5:59 |
모든 곡은 로이 칸(Roy Khan)과 토마스 영블러드(Thomas Youngblood)가 작곡했으며, 별도 표기된 경우는 제외한다.
"New Allegiance"와 "Desert Reign"는 기악곡이다.
2. 2. 일본 보너스 트랙
일본반 보너스 트랙으로는 "Can You Remember"의 라이브 버전이 수록되었으며, 4분 27초 길이이다.3. 참여 음악가
'''추가 연주자'''[5]
- 미로 – 키보드 및 오케스트라 편곡, 프로듀서
- 사샤 패스 – 추가 기타
- 토마스 레트케 – "Nights of Arabia", "Until Kingdom Come" 및 "Alexandria"의 백 보컬
- 디르크 브루이넨버그 – 추가 드럼
- 로버트 후네케-리조 – 추가 드럼
- 란베이그 시프 시구르다르도티르 – "A Sailorman's Hymn"의 백 보컬
- 친지아 리조 – "Nights of Arabia"의 여성 보컬
- 파룩 아스자디 – "Desert Reign"의 플루트 및 추가 타악기
- 앙드레 네이겐핀트 – "Nights of Arabia"의 더블 베이스
- 팔러스레벤 현악 4중주 – 현악
- 사이먼 맥태비시 – 플루트
'''제작'''[5]
- 사샤 패스 – 프로듀서, 믹싱, 마스터링
- 데렉 고레스 – 커버 아트, 디자인
- 토마스 쿠셰프스키 – 사진
3. 1. 카멜롯 멤버
로이 칸 – 보컬[5]토마스 영블러드 – 일렉트릭 기타, 백 보컬[5]
글렌 배리 – 베이스 기타[5]
케이시 그릴로 – 드럼 키트[5]
'''추가 연주자'''[5]
- 미로 – 키보드 및 오케스트라 편곡, 프로듀서
- 사샤 패스 – 추가 기타
- 토마스 레트케 – "Nights of Arabia", "Until Kingdom Come" 및 "Alexandria"의 백 보컬
- 디르크 브루이넨버그 – 추가 드럼
- 로버트 후네케-리조 – 추가 드럼
- 란베이그 시프 시구르다르도티르 – "A Sailorman's Hymn"의 백 보컬
- 친지아 리조 – "Nights of Arabia"의 여성 보컬
- 파룩 아스자디 – "Desert Reign"의 플루트 및 추가 타악기
- 앙드레 네이겐핀트 – "Nights of Arabia"의 더블 베이스
- 팔러스레벤 현악 4중주 – 현악
- 사이먼 맥태비시 – 플루트
3. 2. 추가 연주자
카멜롯의 로이 칸(보컬), 토마스 영블러드(일렉트릭 기타, 백 보컬), 글렌 배리(베이스 기타), 케이시 그릴로(드럼 키트) 외에,[5] 미로(키보드 및 오케스트라 편곡, 프로듀서), 사샤 패스(추가 기타), 토마스 레트케("Nights of Arabia", "Until Kingdom Come" 및 "Alexandria"의 백 보컬), 디르크 브루이넨버그(추가 드럼), 로버트 후네케-리조(추가 드럼)가 참여했다.[5] 또한 란베이그 시프 시구르다르도티르("A Sailorman's Hymn"의 백 보컬), 친지아 리조("Nights of Arabia"의 여성 보컬), 파룩 아스자디("Desert Reign"의 플루트 및 추가 타악기), 앙드레 네이겐핀트("Nights of Arabia"의 더블 베이스), 팔러스레벤 현악 4중주(현악), 사이먼 맥태비시(플루트)가 추가 연주자로 참여했다.[5]4. 제작진
'''추가 연주자'''[5]
- 미로 – 키보드 및 오케스트라 편곡, 프로듀서
- 사샤 패스 – 추가 기타
- 토마스 레트케 – "Nights of Arabia", "Until Kingdom Come" 및 "Alexandria"의 백 보컬
- 디르크 브루이넨버그 – 추가 드럼
- 로버트 후네케-리조 – 추가 드럼
- 란베이그 시프 시구르다르도티르 – "A Sailorman's Hymn"의 백 보컬
- 친지아 리조 – "Nights of Arabia"의 여성 보컬
- 파룩 아스자디 – "Desert Reign"의 플루트 및 추가 타악기
- 앙드레 네이겐핀트 – "Nights of Arabia"의 더블 베이스
- 팔러스레벤 현악 4중주 – 현악
- 사이먼 맥태비시 – 플루트
'''제작'''[5]
- 사샤 패스 – 프로듀서, 믹싱, 마스터링
- 데렉 고레스 – 커버 아트, 디자인
- 토마스 쿠셰프스키 – 사진
5. 평가
''The Fourth Legacy''는 발매와 동시에 여러 음악 전문 매체와 웹사이트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6][7][8] Metal Storm은 10점 만점에 8.5점을 부여했으며,[6] The Metal Crypt는 5점 만점에 4.5점을 주었다.[7] Amazon.com에서는 5점 만점에 평균 4.8점을 받았다.[8]
참조
[1]
웹사이트
Metal Storm
https://metalstorm.n[...]
[2]
웹사이트
Metal Storm review
http://www.metalstor[...]
[3]
웹사이트
The Metal Crypt review
http://www.metalcryp[...]
[4]
웹사이트
Amazon.com review
https://www.amazon.c[...]
[5]
서적
The Fourth Legacy liner notes
Noise Records / Modern Music
[6]
웹인용
Metal Storm review
http://www.metalstor[...]
[7]
웹인용
The Metal Crypt review
http://www.metalcryp[...]
[8]
웹인용
Amazon.com review
https://www.amazon.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